
●드라마 ‘눈강화’의 시청률은 ‘트루이드’여서 매우 낮다.
최근 12월 말 들어 사람들 사이에 가장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작품은 단연 스노우 드롭이 아닐까 싶다. 사극 멜로 서스펜스 장르의 해당 작품은 1987년 서울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왜곡 문제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도 많다. 픽션은 픽션 그대로 봐야 한다는 사람. 반대로 이건 선을 넘어도 너무 과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나는 내 의견을 더 이상 말하지 않겠다. 이 글은 다만 최근 설 강화 시청률이 도대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는 포스팅이다. 일개 블로거에 불과하며, 나는 전문가도 아니고, 단 하나의 시청자. 예전부터 느꼈던 건데, 내 블로그에 내 기준의 생각을 적으면 꼭 시비를 거는 사람이나 반대되는 생각을 가진 사람의 폭력적인 댓글을 보는데 이젠 지쳤다.

그러니 이 글은 논란의 진위를 떠나 요즘 방송되고 있는 JTBC의 주말드라마 ‘SNOW DROP’이 얼마나 사람들이 보고 있는지 확인해보자!

드라마 ‘눈강화 시청률 그래프’가 있으니까 공유해보자 첫 방송이었던 12월 18일 논란 속에 방영이 시작돼 전국 기준으로 2.985%를 찍었다. 수도권의 경우는 3%를 조금 넘은 수치. 그리고 2회가 방영된 12월 19일이 드라마 사상 가장 높은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날이었다. 3.8%와 3.6%이다.

그런데 2화가 말 그대로 정점이었어 3회부터는 전국 기준으로 무려 1.853%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도권 통계는 일절 공개되지 않고 있다. 그만큼 심각하다.

도중에 결방 국민청원으로 수십만 명 이상이 동의해 도마에 올랐지만 방송사인 JTBC는 물러서지 않는 무반응 직진작전을 펼치게 된다.

논란 속에서도 무지하게 방영해 보란 듯이 3회를 연속 방송하기도 했다. 그래도 사람들의 관심은 거의 사라지고 있는 것처럼

최근 12월 초에 방영된 TVN의 토일드라마 지리산. 이 작품 역시 여러모로 화제가 있었지만 설강화 정도까지는 절대 아니었다.

위에 지리산 시청률 그래프에서 보듯 1회 때는 10% 가까운 수치를 보였고 2회 때는 10월 24일에는 전국이 10% 달성, 수도권은 12%를 달성했다. 그러나 그 후 그 수치만 점차 낮아졌을 뿐, 그래도 전반적으로 평균 78% 정도의 수치를 지속적으로 보여줬다. 최종화는 10%.

이런 와중에 설날의 강화 시청률은 정말 낮다. 최근 방송된 크리스마스 다음 날인 12월 26일 방송분. 2.751%의 표를 던지며 다소 반등한 듯 보이지만 실제로 작품을 집중해서 보기 위한 시청자가 아니라 도대체 이 작품이 뭐란 말인가. 궁금해서 보는 사람들 같다.

모두 16부 편성으로 내년 2월 5일 종영할 예정이었지만 이 드라마가 과연 끝까지 시장까지 살 수 있을지, 도중에 스톱을 하게 될지 궁금하다.

지금까지 언급한 통계 수치는 모두 닐슨코리아 기준이며 공식 홈페이지를 보면 위의 숫자와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다.

포스팅에서 이번 드라마의 설 강화 시청률을 조금 살펴보았다. 상당히 낮은 수치임에 틀림없다. 몇 가지 논란에도 불구하고 강행하는 JTBC의 태도가 인상적이며 국민청원이 올라온 서명 수도 놀랍다. 올해 2021년 들어 가장 큰 논란이 되는 작품이 아닌가 싶다. 따지고 보면 지리산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앞으로의 행보가 기대된다 2022년 2월 5일 종방 예정이었는데, 과연 그것까지 끌게 될지, 도중에 중단될지.
이미지 출처 : 작품 스틸컷 저 : 리뷰어김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