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실관계]
피보험자 A씨는 2011.10경 자택에서 자다가 돌연 사망했다.유족들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부검을 의뢰했고 그 결과 심장에 원활한 혈액공급이 안 돼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는 소견에 따라 해당 보험약관에 규정된 급성심근경색증 진단급여금을 청구했지만 보험사는 보험금 지급을 거부했다.
[보험사 주장]
A의 유족이 제출한 사체검안서 및 부검감정서는 병리학적 진단이 아닌 부검결과 피보험자의 사인인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은 동맥에 지방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에 대한 혈액공급부족으로 발생하는 협심증, 심근경색증의 모든 것을 말하는 표현인 것인지,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이라는 사인만으로는 협심증인지 심근경색증인지 심근경색증인지.
심근경색증의 경우도 급성심근경색증인지 만성심근경색증인지 불명확하기 때문에 보험약관상 급성심근경색증 진단급여금 지급대상이 아니다.[판단]
해당 보험 약관에서는 급성심근경색증의 진단확정은 병력과 함께 심전도, 심장초음파, 관상동맥촬영술, 혈액 중의 심장효소검사, 핵의학검사를 기초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피보험자의 경우 병력이 없고 심전도, 심장초음파, 관상동맥촬영술, 혈액 중의 심장효소검사, 핵의학검사가 실시되지 않으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정서에 의한 부검정서만 해당된다.
부검 감정서에는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으로만 명시돼 있으며 급성심근경색증이라는 소견이 없어 급성심근경색증으로 단정하기 어렵다.
안녕하세요. ‘숨은 보험금 찾기’ 블로그에 접속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저는 손해사정 관련… blog.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