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최근 증시가 왜 약세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요인에 대해 글을 올려보려고 합니다.출처 : Pixabay최근 주위에서 시장과 관련해서 질문하는 것이 많아졌습니다.결국 질문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조롭게 상승하던 증권 시장이 왜 갑자기 하락세를 보이는가?전쟁 위험 같은데…”이스라엘과 이란의 분쟁이 전면전으로 확대하면서 이른바”중동 전쟁”이 다시 발생하고 제3차 오일 쇼크가 오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존재합니다만.이런 위험에 대한 우려도 분명히 영향이 있는 것이 옳습니다.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대중 심리”로 오르내리는 것이고 이러한 조정은 어떤 의미에서 당연합니다.앙드레·코스트라 니의 짧은 굵은 격언 하나를 안내합니다.바로 내 친구, 애인의 심리도 정확히 알기 힘들기 때문에 수백 수천만의 시장 참가자의 심리를 아는 것은 불가능한 게 당연하죠.주식 투자를 지배하는 것은 90%가 심리학(시장 참여자의 심리)이다.앙드레·코스트라 니, 20세기 유럽의 버핏 씨로 불리는 가장 성공한 개인 투자자대중 심리와 함께 좀 더 구체적인 이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금리입니다.그동안 증권 시장이 올랐던 것은 “미국 금리 인상은 끝났고 이제 금리를 낮추는 것밖에 남지 않은 “이라는 낙관적이면서도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살아난 이유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지만 다양한 경제 지표가 금리를 오히려 높여야 한다는 식으로 생기게 된다,”금리 인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오른 증시가 조정을 받고 있어요.2)전쟁입니다.필수 요소이죠.물론 현재까지 악재는 시장에 거의 반영됐다고 볼 수 있는 현 시점에서 뭔가 크게 확대하거나 다른 나라가 전쟁에 참여하거나 이러한 이슈가 있느냐가 핵심입니다.이 전쟁은 “장기적”으로 세계 경제 성장을 방해하는, 저해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투자가가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대표적인 이슈입니다.장기적으로 보면”평화”와 “경제 성장”이 증권 시장이 상승하는 데 가장 필수적인 요소입니다.”장기 평화+지속적인 경제 성장= 착실한 상승장”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이스라엘-하마스 개전 초기에도 이스라엘의 텔아비브 증권 시장이 7%가량 하락하는 등 일단 기대 하지 못한 뭔가가 폭발하게 되면 단기 폭락은 불가피한 증시의 숙명입니다.3)정치입니다.우선 올해 미국 대선이 있는 조 바이든, 트럼프의 어느 쪽이 확실히 우세를 차지하고 없는 상황입니다.이런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 대한 불확실성도 어느 정도의 증시 하락을 부추기는 요인이 됩니다.또 한국만의 이슈인 “총 선거 이슈”이 있지만 민주당이 다수당이 된 것은 금융 투자 소득세 등 증시 세제 도입에 따른 변동성 확대 등에 대해서 시장 참가자의 우려도 존재하는 상황입니다.즉, 글로벌 정치 동향은 부득이더라도 적어도 한국 증권 시장을 적극적으로 부양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증권 시장에 노력(ex. 가치 향상 프로그램 적극 추진, MSCI선진 지수 편입을 위한 노력 등)이 필요합니다.(물론 민주당이 다수당이 되었으니 돈을 더 공급하고 증시 부양 등의 기대감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제가 드리고 싶은 한마디 요약은 다음과 같습니다.”장기 투자의 경우 현재 발생하는 모든 것은 결국 『 잡음 』에 불과하다.”초기 투자 원칙을 고수한다”입니다.[과거 브레그짓토, COVID-19등 대소의 위기는 결국 극복되어 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이상으로 최근 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3가지 이슈에 대한 분석(금리, 전쟁, 정치)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