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유치원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하고 있는데 이번 수업 주제는 ‘태양계’인 것 같다.처음엔 꽃, 그 다음엔 우리가족이었는데 남자애라서 그런지 태양계에 관심이 많으면서 집에 와서도 술술 읊는 반.
아이가 너무 흥미로워 엄마가 가만히 있을 수 없다며 머릿속에 모델링한 뒤 아이 등원 시간에 다이소와 거리의 문방구를 투어하며 재료를 사왔다. 아이와 함께 가면 반드시 뭔가를 사줘야 한다. -_-)
[준비물] 다이소: 글루건과 글루, 플라스틱 티라이트(작은것) 문구: 투명반구, 스티로폼구, 고무공, 단단한꽃철사,

너.저.분….소지품들.


일단 아이와 태양계에 대해서 알아볼게.유치원에서 배워왔는지 노래로는 또박또박 읊고 있지만 차근차근 말해보라고 하면 헷갈린다.다시 한 번 꼼꼼히 가르쳐주고 하얀 종이에 어떻게 만들까 계획을 세워본다.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수금지, 화목토천해의 크기와 색깔, 고유의 특징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고 자리 배치 같은 것도 본다.과정에서 어려운 점이나 헷갈리는 점이 있으면 책이나 인터넷에서 검색해 알려준다.


토성의 특징적인 고리는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거베로 해결했다. 대충 깨물기 ㅋㅋㅋ

둘로 하겠느냐, 둘로 하겠느냐 하면 둘로 하겠노라고 해서 직접 골라 만드는 중이다.



계획에 진심인 놈…..

아이를 기다리는 동안 일단 버리는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 반구를 대고 원을 그려준다(X2 두 개 만들기)
플라스틱이라아이가가위질을하다가다칠수도있으니까이건내가직접한다.



엄마, 다 그렸어요.


그리고 행성을 고를 차례인 슈퍼볼은 집 앞 문방구에서 뽑은 것도 있고 산 것도 있는데 매우 아깝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 위주로 준다.이거 아마 수성일 거야

녹색과 흰색이 마블된 땡땡볼이었는데 파란색 네임펜으로 바다를 그리니 마치 지구처럼 됐다.
고무공에 딱딱한 철사를 글루건으로 붙여 색칠이 더 쉽게 할 수 있다.

적당한 고무공이 없거나 크기가 큰 행성은 스티로폼 공으로 교체했다.스티로폼은 수채화 물감으로는 색칠이 어렵기 때문에 크릴 물감이나 네임펜, 사인펜으로 칠하면 더 선명하게 색칠할 수 있다.
얼추 만들어진 행성들….

해를 만들 차례다.밑에 종이에 그려놓은 태양 모델링
우리는 활활 타는 태양을 만들 것이다.www

집에 굴러다니는 빨간색 무대 하나씩 보자조그맣게 부숴버렸더니 청소가 너무 힘들었어 그냥 대충 길게 썰어서 마구 구겨도 되겠어.아스테이지가 없으면 반짝이는 빨간색 포장지나… 빨간 양파망 같은 것도 생길 것 같아

태양 표면의 대류 현상을 표현하기 위해 실을 이용해 보았다.붉은 실, 오렌지 실, 노란 실을 이용해서 많이 모은 다음 냉면을 자르듯이 가위로 자른다
실을 실컷 풀 때 아들의 표정이 즐거워보였어.
- 글루건을 이용해 반구 가운데에 쓸 수 없는 볼펜꽂이를 꽂는다.이것이 태양계의 기둥이 될 예정이다. (태양의 회전축 및 중력장) 견고하게 붙인다.
2. 후에 태양반구 측면에 칼집을 내고 글루건으로 티라이트를 안쪽에 붙인다.티라이트 뒷면에 on/off 스위치가 있는데 아이들이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도록 위치를 잘 조정하여 달아준다.
3. 그리고 아까 아들이 잘라놓은 아스테이지와 실을 잘 섞어서 그럴듯하게 넣은후
4. 처음 자른 재활용 플라스틱 판으로 반구 뚜껑을 만들어 덮어준다.[이때 마무리는 글루건으로 한다]

볼펜 받침대에 방금 만든 행성 반대편의 철사를 고정시켜 준다.

이렇게 돌아가길 바라며 이렇게 만들었는데 철사끼리 간섭이 생겨서 잘 안돌아간다.. 아쉽다.. (´;ω;`)

힘센 아들이 가지고 노는 모형인 라사이 글루건으로 다시 한번 튼튼하게 보강한다.나중에 반대편 반구도 같은 방법으로 만들면 된다.

그렇게 완성된 태양계 모델. (뒤에 더러운 방은 모른척 해본다…)

불을 끄면 이글이글 타오르는 태양의 모습을 자세히 보면 햇빛을 받은 행성의 표면이 좀 더 밝음을 관찰할 수 있다.이 모델로 일식과 월식, 혹은 행성의 낮과 밤 같은 것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다.

동그랗고 잡기 어려워서 안 쓰는 마스크 끈으로 손잡이도 만들었다.잘 정리해 놓으면 아이가 이름을 지어 주고 싶다며 행성의 이름을 적어 붙였다.

오늘도 힘들었지만 보람있는 육아… 끝…
#태양계 #solarsystem #솔라시스템 #유치원프로젝트수업 #태양계만들기 #만들기수업 #엄마표과학놀이 #행성 #만들어볼까요 #가정내연계활동 #미술놀이 #태양계모델 #일식과월식 #낮과밤